2025년 3월, 민방위 훈련과 예비군 훈련이 시작됩니다. 훈련 대상자들은 일정과 준비물을 확인하고, 변경된 사항을 숙지하여 원활한 참여를 준비해야 합니다.
목차
1. 2025년 민방위 훈련 개요
2. 민방위 훈련 대상자 및 연차별 교육 내용
3. 민방위 훈련 일정 및 준비물
4. 2025년 예비군 훈련 개요
5. 예비군 훈련 대상자 및 변경된 사항
6. 예비군 훈련 일정 및 준비물
1. 2025년 민방위 훈련 개요
2025년 민방위 훈련은 3월부터 11월까지 전국적으로 시행됩니다. 훈련은 기본교육과 보충교육으로 나뉘며, 기본교육은 3월부터 6월까지, 보충교육은 9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됩니다.  훈련은 1일 4시간 동안 진행되며, 지역별로 일정과 장소가 다를 수 있으므로 개인별 통지서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2. 민방위 훈련 대상자 및 연차별 교육 내용
민방위 훈련은 전역 후 5년 차부터 40세까지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합니다. 연차별로 교육 내용이 다르며, 1~4년 차는 기본 및 실습 훈련, 5년 차 이후는 사이버 교육이 주로 이루어집니다. 
• 1~4년 차 : 화재 및 지진 대피 훈련,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CPR) 교육, 화생방 및 전시 상황 대비 훈련, 사이버 안보 및 테러 대응 훈련 등 실습 위주의 교육이 진행됩니다. 
• 5년 차 이후 : 온라인 강의를 통한 민방위 기초 교육, 비상 상황 시 대처법, 재난 대비 필수 지식 학습 등 사이버 교육이 주를 이룹니다. 
3. 민방위 훈련 일정 및 준비물
• 일정 확인: 훈련 통지서는 훈련 1~2주 전에 발송되므로, 이를 통해 정확한 일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국민재난안전포털을 통해 각 시군구별 민방위 교육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필수 준비물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하나)
• 본인 명의의 핸드폰 (출석용 QR코드 발급)
• 편안한 복장과 운동화
훈련에 불참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일정에 맞춰 참석하거나 필요 시 유예 신청을 해야 합니다. 
4. 2025년 예비군 훈련 개요
2025년 예비군 훈련은 3월 4일부터 전국 160개 예비군 훈련장에서 시작됩니다. 이번 훈련은 ‘즉각 전투력 발휘 보장’과 ‘전·평시 임무수행능력 숙달’에 중점을 두고 시행됩니다. 
5. 예비군 훈련 대상자 및 변경된 사항
• 대상자: 병역 의무를 이행한 후 1~8년 차 예비군을 대상으로 합니다. 
• 훈련 명칭 변경: 기존의 ‘동원훈련’과 ‘동미참훈련’이 각각 ‘동원훈련Ⅰ형’과 ‘동원훈련Ⅱ형’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 훈련 체계 개선: 훈련체계와 참가비 제도가 개선되어 예비군 훈련의 효율성이 높아졌습니다. 
6. 예비군 훈련 일정 및 준비물
• 일정 확인: 예비군 훈련은 지역별로 일정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병무청 또는 국방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개인별 훈련 일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 필수 준비물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하나)
• 예비군 복장 및 군화
• 필기구
2025년 3월부터 시작되는 민방위 훈련과 예비군 훈련은 국가 안보와 재난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훈련 대상자들은 개인별 일정과 준비물을 사전에 확인하고, 변경된 사항을 숙지하여 원활한 참여를 준비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안전과 국가의 안보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